SITEMAP 창 닫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게시판/자료실

CP관련 주요 공지 내용 및 이슈사항(법령 재/개정 사항 포함)을 안내 드립니다.


CP News

의약품 생산·수입·공급중단 보고 '120일 앞당겨' 장효진 25-03-13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들에 대한 보고시점이 앞당겨진다. JW중외제약 분만유도제 '옥시토신' 공급 부족 등과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완제의약품 공급 부족에 대한 제약사 보고 기준 등을 규정하는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 보고 규정'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이번 고시 개정안은 완제의약품 공급중단 보고 시점을 앞당기는 '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 개정에 따라 총리령 위임 사항을 규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재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은 보건복지부가 지정하고 있으며, 4만개가 넘는 의약품 중 300개 제약사 3000품목이 지정돼 있다.

개정안 주요 내용을 보면 공급중단 보고 시점 변경을 180일 전으로 설정해 기존보다 120일 앞당겼다. 천재지변이나 원료수급 중단 등 예기치 못한 사유 발생 시에는 공급 중단일부터 10일 내 보고하면 된다. 공급부족의 경우 공급 감소와 일시정지로 분류한다. 전자의 경우 매 분기 종료일로부터 1개월 내 알리고, 공급 일시정지의 경우 생산·수입 감축계획 수립 후 1개월 내 보고하면 된다. 공급부족 보고대상이 되는 생산·수입 감소 기준도 갖췄다. 공급 중단의 경우  품목 취하 및 계약종료 등 사유로 해당 의약품 생산·수입·공급이 영구적 및 잠정적 중단 예정일 때 보고하면 된다. 공급 감소의 경우 매 분기 종료일 기준 향후 1년간 생산·수입(예상)이 최근 3년 연평균 50% 이하일 때 보고토록 명시했다. 공급 일시정지의 경우  3개월 이상 생산·수입정지 예정돼 있으며, 실제 시장 공급도 1개월 이상 정지 예정된 경우에 보고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최근 분만유도제 '옥시토신' 공급 부족으로 산과 의료기관에서 민원이 빗발친 바 있다"며 "이 같은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시장 점유율이 전체 40% 이상, 허가 품목이 3개 이하인 의약품에 대한 수급 상황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보고 시점을 앞당겼다"고 설명했다. 

한편, 공급 부족의 기준은 최근 3년 연평균 대비 향후 1년간 생산·수입량 1/2 이하로 감소하는 것이고, 공급 일시정지는 생산·수입이 3개월 이상 일시 정지되고, 시장공급 1개월 이상 정지된 경우를 뜻한다.


CP News

번호 제목 첨부파일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03 혁신제약 인증취소, 점수제 요청 빗발…정부는 "검토중" 이수현 24-11-01 919
102 제약·CSO업계, 신고제 여파에 촉각···‘재위탁’과 ‘수수료율’ 주목 이수현 24-11-01 1,313
101 의정 갈등에 제약업계도 여파…휴진 등 의료 공백에 기업들 '울상' 이수현 24-10-30 1,541
100 25년도 의료개혁 2조원 예산…개원가 어디에 투입되나 이수현 24-10-30 1,402
99 권익위, 리베이트·사무장병원 집중 공익제보 받는다 장효진 24-10-22 1,522
98 "GMP 약사감시 제약사, 위반 사례 40%" 장효진 24-10-14 1,138
97 약사회 "제약사·CSO, 약국 조제내역 요구 강경 대응" 장효진 24-10-14 826
96 위장 CSO·카드깡 현금...제약 16곳 리베이트 세무조사 장효진 24-09-27 1,013
95 병의원·약국 등 서울대 로고 무단사용 주의보 장효진 24-09-24 815
94 중고마켓 건기식 불법거래 두 달간 1946건 적발 장효진 24-09-20 858
93 복지부 "PA간호사 제도화 방안 아직 미정" 장효진 24-09-04 853
92 간호계 숙원 간호법 '통과'···의료 새 패러다임-오늘 오후 국회 본회의서 '찬성 283표' 가결···'PA간호사' 합법화 장효진 24-08-28 904
91 '간호법' 결국 불발…PA간호사 제도화 '불투명' 장효진 24-08-23 818
90 전공의 40%→20%…전문의·PA간호사 '팀 구성' 장효진 24-08-22 868
89 병·의원서 환자 신분증 검사 안하면 진짜 '과태료' 장효진 24-08-21 841
88 오는 27일부터 청탁금지법상 식사비 한도 5만원으로 상향 장효진 24-08-20 853
87 의료계, 개원면허제 추진 강력 반발..."의사면허 무력화" 장효진 24-08-19 779
86 CSO를 향해 다가오는 칼날에 제약업계 긴장감도 '고조' 장효진 24-08-13 829
85 ESG 경영 힘 쏟는 제약·바이오업계…"글로벌 투자 유치에 중요 이수현 24-07-30 1,249
84 의료기기 구매 병원에 연구비 지원 '리베이트'…제노스 제재 이수현 24-07-29 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