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창 닫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게시판/자료실

CP관련 주요 공지 내용 및 이슈사항(법령 재/개정 사항 포함)을 안내 드립니다.


CP News

복지부 "PA간호사 제도화 방안 아직 미정" 장효진 24-09-04

지난달 28일 진료보조(PA)간호사 의료행위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 ‘간호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내년 6월부터 진료지원 간호사의 의료행위가 합법화 된다.

간호법 제14조에 따르면 PA 업무를 수행하려는 간호사는 전문간호사 자격이나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임상경력 및 교육과정의 이수에 따른 자격을 보유해야 한다. 

전문간호사는 의료법에서 간호사 이외 유일하게 자격 인정 등이 명시돼 있는 간호인력이다. 의료법에서 인정하고 있는 보건, 마취, 가정, 정신, 감염관리, 산업, 응급, 노인, 중환자, 호스피스, 종양, 임상, 아동 등 총 13개 분야에서 활동한다.  

전문간호사가 되려면 해당 분야에서 3년 이상 경력에 2년 이상의 석사 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복지부가 위탁한 기관에서 자격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매년 400여명의 전문간호사가 자격시험을 통해 배출되고 있으며, 지난해 기준으로 자격증 소지자는 1만7346명에 달한다. 현재 PA 업무를 하고 있는 간호사 상당수는 전문간호사가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복지부는 활동 중인 PA간호사는 1만4000여명, 대한간호협회는 1만6000여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국전문간호사협회 역시 현재 전문간호사 외에도 1만3500명 이상의 간호사가 전담간호사로서 PA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PA간호사를 전문간호사로 흡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적절한 경력, 교육 및 자격을 갖춘 전문간호사로 흡수해 일원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일각에선 PA 업무를 하던 간호사들은 별도 절차 없이 기존 업무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관련 교육을 이수하지 않고 전문간호사 면허도 없는 상태가 지속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에 대해 복지부 간호정책과는 “간호법 시행 이후 PA가 진료지원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별도 자격 및 교육과정은 아직 결정된 바 없다. 다만 제도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관계 전문가, 현장 의견수렴 등을 통해 국민과 환자를 위해 질 높은 진료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와 절차를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P News

번호 제목 첨부파일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공지 제약사가 의약사에게 준 경제적이익 대국민 공개 장효진 24-03-22 1,355
107 개인병원 봉직의도 CSO 금지…법안소위 통과 촉각 장효진 24-11-19 264
106 회사 직원에게 돈을 빌려준 협력업체 계약을 해지할 수 있을까? 장효진 24-11-18 235
105 의사들 골프 접대 위해 '상품권 깡'한 제일약품, 과징금 3억원 이수현 24-11-15 275
104 의사가 CSO 신고?...복지부, 결격사유 일괄확인 예고 장효진 24-11-01 340
103 혁신제약 인증취소, 점수제 요청 빗발…정부는 "검토중" 이수현 24-11-01 531
102 제약·CSO업계, 신고제 여파에 촉각···‘재위탁’과 ‘수수료율’ 주목 이수현 24-11-01 695
101 의정 갈등에 제약업계도 여파…휴진 등 의료 공백에 기업들 '울상' 이수현 24-10-30 812
100 25년도 의료개혁 2조원 예산…개원가 어디에 투입되나 이수현 24-10-30 761
99 권익위, 리베이트·사무장병원 집중 공익제보 받는다 장효진 24-10-22 861
98 "GMP 약사감시 제약사, 위반 사례 40%" 장효진 24-10-14 760
97 약사회 "제약사·CSO, 약국 조제내역 요구 강경 대응" 장효진 24-10-14 593
96 위장 CSO·카드깡 현금...제약 16곳 리베이트 세무조사 장효진 24-09-27 722
95 병의원·약국 등 서울대 로고 무단사용 주의보 장효진 24-09-24 620
94 중고마켓 건기식 불법거래 두 달간 1946건 적발 장효진 24-09-20 651
93 복지부 "PA간호사 제도화 방안 아직 미정" 장효진 24-09-04 636
92 간호계 숙원 간호법 '통과'···의료 새 패러다임-오늘 오후 국회 본회의서 '찬성 283표' 가결···'PA간호사' 합법화 장효진 24-08-28 673
91 '간호법' 결국 불발…PA간호사 제도화 '불투명' 장효진 24-08-23 612
90 전공의 40%→20%…전문의·PA간호사 '팀 구성' 장효진 24-08-22 647
89 병·의원서 환자 신분증 검사 안하면 진짜 '과태료' 장효진 24-08-21 618
88 오는 27일부터 청탁금지법상 식사비 한도 5만원으로 상향 장효진 24-08-20 641